loading

교육

Learning by
Doing

기계공학부는 실무 중심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직접 경험하고 배우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창의적인 프로젝트와 실습을 통해 이론과 실제를 연결하며,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웁니다.

학부교과과정

1학년

1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일반화학및실험1 전공기초(필수) CHM1005 100 3
공학입문설계 전공핵심 COE2022 100 3
말과글 교양필수 CUL0005 100 3
일반물리학및실험1 전공기초(필수) CUL3011 100 3
미분적분학1 전공기초(필수) GEN2052 100 3
커리어개발 I 교양필수 GEN5029 100 1
휴먼리더십(HELP1) 교양필수 SYH0001 100 2

2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정역학 전공핵심 COE2003 100 3
일반물리학및실험2 전공기초(필수) CUL3012 100 3
창의설계세미나 전공핵심 DME1001 1
기계공학도를위한인문과예술 전공심화 DME2061 1
컴퓨터프로그래밍 교양필수 GEN1031 100 3
미분적분학2 전공기초(필수) GEN2053 100 3
과학기술의철학적이해 교양필수 GEN4091 100 3
2학년

1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동역학 전공핵심 COE2004 200 3
공업수학1 전공기초(필수) COE3051 100 3
재료역학1 전공핵심 DME2001 200 3
전기공학 전공심화 ELE3053 200 3
테크노경영학 교양필수 GEN5026 100 3
전문학술영어 교양필수 GEN6032 100 3

2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공업수학2 전공기초(필수) COE3052 200 3
재료역학2 전공핵심 DME2002 200 3
컴퓨터지원제도 전공핵심 DME2008 200 3
기계재료학 전공심화 DME2055 200 3
계산공학기초 전공심화 DME2059 200 3
전자공학 전공심화 ENE3063 200 3
기계공학기초실험및설계 전공심화 MEE2010 200 3
열역학1 전공핵심 MEE3001 200 3
글로벌리더십(HELP2) 교양필수 SYH0002 100 2
3학년

1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공업수학3 전공기초(필수) COE3053 300 3
선형대수원리및응용 전공심화 DME2060 300 3
기계요소설계 전공심화 DME3052 300 3
동역학전산설계 전공심화 DME3060 300 3
전공현장실습1 전공심화 GEN6094 3
수치해석 전공기초(필수) MAT3008 300 3
열역학2 전공핵심 MEE3002 300 3
유체역학1 전공핵심 MEE3003 300 3
공업교과교육론 교직전공 TEA5008 3

2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시스템해석 전공핵심 DME3003 300 3
열역학전산설계 전공심화 DME3061 300 3
재료역학전산설계 전공심화 DME3062 300 3
열유체공학실험1 전공심화 DME3063 300 2
동역학제어실험1 전공심화 DME3064 300 2
재료및생산가공실험1 전공심화 DME3065 300 2
기계공학의응용과미래1 전공심화 DME4062 300 1
커리어개발 II 교양필수 GEN5100 100 1
전공현장실습2 전공심화 GEN6095 3
유체역학2 전공핵심 MEE3004 300 3
열전달 전공핵심 MEE4001 300 3
기계제작공정 전공핵심 PME2001 3
기계진동학 전공핵심 PME3002 300 3
비즈니스리더십(HELP3) 교양필수 SYH0003 100 2
공업논리및논술 교직전공 TEA3028 2
4학년

1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최적설계 전공심화 DME3009 3
기계공학의응용과미래2 전공심화 DME4063 400 1
열유체유동해석및설계 전공심화 DME4064 400 3
다분야기계시스템설계 전공심화 DME4065 400 3
열유체공학실험2 전공심화 DME4066 300 2
동역학제어실험2 전공심화 DME4067 300 2
재료및생산가공실험2 전공심화 DME4068 300 2
자동제어 전공심화 EME4054 400 3
계측공학 전공심화 MEE4011 200 3
기계공학종합설계1 전공핵심 MEE4085 400 3
셀프리더십(HELP4) 교양필수 SYH0004 100 2
공업교과교재연구및지도 교직전공 TEA6008 3

2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기구학 전공심화 APA4010 400 3
기계공학종합설계2 전공핵심 MEE4086 400 3
학교 졸업요건
구분 내용
평균평점
1.75 학점 이상 (F학점 포함)
졸업기준
1. 영어 전용 강좌 : 5강좌 이상 2. 졸업논문 통과
전공계
[졸업학점 130학점 이상] 전공기초 27학점 이상 전공핵심 36학점 이상 전공심화 24학점 이상 교양필수 4학점 (과학과기술/소프트웨어/ 인문과 예술/사회와세계영역) + 고전읽기 2학점 + 글로벌언어와문화 2학점 + 미래산업과창업 2학점 *필수과목 이수
1학년

1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일반화학및실험1 전공기초(필수) CHM1005 100 3
공학입문설계 전공핵심 COE2022 100 3
말과글 교양필수 CUL0005 100 3
일반물리학및실험1 전공기초(필수) CUL3011 100 3
미분적분학1 전공기초(필수) GEN2052 100 3
커리어개발Ⅰ:취.창업진로로드맵 전공기초(필수) GEN5029 100 1
사랑의실천1(한양나눔) 교양필수 SYH0001 100 2

2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정역학 전공핵심 COE2003 100 3
일반물리학및실험2 전공기초(필수) CUL3012 100 3
Adventure Design(기계융합1) 전공심화 DME1002 100 3
스마트제조의이해 전공심화 DME1003 100 3
공학도를위한창의적컴퓨팅 교양필수 GEN1031 100 3
미분적분학2 전공기초(필수) GEN2053 100 3
과학기술의철학적이해 교양필수 GEN4091 100 3
2학년

1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동역학 전공핵심 COE2004 200 3
공업수학1 전공기초(필수) COE3051 100 3
재료역학1 전공핵심 DME2001 200 3
컴퓨터지원제도 전공핵심 DME2008 200 3
Adventure Design (기계융합2) 전공심화 DME2062 200 3
전기공학 전공심화 ELE3053 200 3
전문학술영어 교양필수 GEN6032 100 3
계측공학 전공심화 MEE4011 200 3

2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공업수학2 전공기초(필수) COE3052 200 3
재료역학2 전공핵심 DME2002 200 3
기계재료학 전공심화 DME2055 200 3
인공지능이론및프로그래밍 전공심화 DME2059 200 3
전자공학 전공심화 ENE3063 200 3
기계공학기초실험및설계 전공심화 MEE2010 200 3
열역학1 전공핵심 MEE3001 200 3
글로벌리더십(HELP2) 교양필수 SYH0002 100 2
3학년

1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공업수학3 전공기초(필수) COE3053 300 3
선형대수원리및응용 전공심화 DME2060 300 3
기계요소설계 전공심화 DME3052 300 3
동역학전산설계 전공심화 DME3060 300 3
기계공학연구실현장실습1 전공심화 DME3066 300 1
테크노경영학(스타트업종합설계) 교양필수 GEN5026 100 3
수치해석 전공기초(필수) MAT3008 300 3
열역학2 전공핵심 MEE3002 300 3
유체역학1 전공핵심 MEE3003 300 3

2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시스템해석 전공핵심 DME3003 300 3
열역학전산설계 전공심화 DME3061 300 3
재료역학전산설계 전공심화 DME3062 300 3
열유체공학실험1 전공심화 DME3063 300 2
동역학제어실험1 전공심화 DME3064 300 2
재료및생산가공실험1 전공심화 DME3065 300 2
기계공학연구실현장실습2 전공심화 DME3067 300 1
스마트기계공작법 전공핵심 DME3068 300 3
기계공학의응용과미래1 전공심화 DME4062 300 1
커리어개발Ⅱ:취.창업진로포트폴리오 교양필수 GEN5100 100 1
유체역학2 전공핵심 MEE3004 300 3
열전달 전공핵심 MEE4001 300 3
기계진동학 전공핵심 PME3002 300 3
사랑의실천3(기업가정신) 교양필수 SYH0003 100 2
4학년

1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기계공학부캡스톤PBL 전공심화 PBL4006 400 3
기계공학의응용과미래2 전공심화 DME4063 400 1
열유체유동해석및설계 전공심화 DME4064 400 3
다분야기계시스템설계 전공심화 DME4065 400 3
열유체공학실험2 전공심화 DME4066 300 2
동역학제어실험2 전공심화 DME4067 300 2
재료및생산가공실험2 전공심화 DME4068 300 2
복합재료기초역학 전공심화 DME4070 400 3
기계공학연구실현장실습3 전공심화 DME4071 400 1
스마트제조PBL1 전공심화 DME4073 400 3
최적설계및머신러닝 전공심화 DME4076 400 3
자동제어 전공심화 ENE4054 400 3
로보트공학 전공심화 MEE3008 400 3
기계공학종합설계1 전공핵심 MEE4085 400 3
셀프리더십(HELP4) 교양필수 SYH0004 100 2

2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기계공학부캡스톤PBL 전공심화 PBL4006 400 3
기구학 전공심화 APA4010 400 3
기계공학연구실현장실습4 전공심화 DME4072 400 1
스마트제조PBL2 전공심화 DME4074 400 3
캐드와디지털팩토리개론 전공심화 DME4075 400 3
기계공학종합설계2 전공핵심 MEE4086 400 3
반도체및MEMS공정개론 전공심화 MEE4088 400 3
학교 졸업요건
구분 내용
평균평점
1.75 학점 이상 (F학점 포함)
졸업기준
1. 영어 전용 강좌 : 5강좌 이상 2. IC-PBL 강좌 이수 (21학번부터) * 신입생 : 4강좌 이상 * 편입생 : 2강좌 이상 3. 졸업논문 통과
전공계
[졸업학점 130학점 이상] 전공기초 30학점 이상 전공핵심/심화 42학점 이상 전공400단위 12학점 이상 교양필수 25학점(공통) 3학점(계열) 핵심교양영역 10학점 *필수과목 이수
1학년

1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일반화학및실험1 전공기초(필수) CHM1005 100 4
공학입문설계 전공핵심 COE2022 100 3
말과글 교양필수 CUL0005 100 3
상상과학성찰 교양필수 CUL0201 100 2
일반물리학및실험1 전공기초(필수) CUL3011 100 4
미분적분학1 전공기초(필수) GEN2052 100 3
커리어개발Ⅰ:취.창업진로로드맵 교양필수 GEN5029 100 1
사랑의실천1(한양나눔) 교양필수 SYH0001 100 2

2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정역학 전공핵심 COE2003 100 3
AI시대쓰기의힘 교양필수 CUL0203 100 2
일반물리학및실험2 전공기초(필수) CUL3012 100 3
Adventure Design(기계융합1) 전공심화 DME1002 100 3
스마트제조의이해 전공심화 DME1003 100 3
공학도를위한창의적컴퓨팅 교양필수 GEN1031 100 3
미분적분학2 전공기초(필수) GEN2053 100 3
과학기술의철학적이해 교양필수 GEN4091 100 3
2학년

1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동역학 전공핵심 COE2004 200 3
공업수학1 전공기초(필수) COE3051 100 3
인공지능과기계학습 교양필수 CUL1138 100 2
재료역학1 전공핵심 DME2001 200 3
컴퓨터지원제도 전공핵심 DME2008 200 3
Adventure Design(기계융합2) 전공심화 DME2062 200 3
모빌리티산업의이해 전공심화 DME2063 200 2
수소모빌리티산업의응용과미래 전공심화 DME2064 200 2
전기공학 전공심화 ELE3053 200 3
전문학술영어 교양필수 GEN6032 100 3
계측공학 전공심화 MEE4011 200 3

2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공업수학2 전공기초(필수) COE3052 200 3
재료역학2 전공핵심 DME2002 200 3
기계재료학 전공심화 DME2055 200 3
인공지능이론및프로그래밍 전공심화 DME2059 200 3
전자공학 전공심화 ENE3063 200 3
공학도를위한창의적프로그래밍 교양필수 GEN1100 100 2
기계공학기초실험및설계 전공심화 MEE2010 200 3
열역학1 전공핵심 MEE3001 200 3
사랑의실천2(스마트커뮤니케이션) 교양필수 SYH0002 100 2
3학년

1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공업수학3 전공기초(필수) COE3053 300 3
선형대수원리및응용 전공심화 DME2060 300 3
기계요소설계 전공심화 DME3052 300 3
테크노경영학(스타트업종합설계) 교양필수 GEN5026 100 3
기계공학HY-UP(실용연구실습)1 전공심화 HYP1008 400 1
수치해석 전공기초(필수) MAT3008 300 3
열역학2 전공핵심 MEE3002 300 3
유체역학1 전공핵심 MEE3003 300 3

2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시스템해석 전공핵심 DME3003 300 3
기초고체화학 전공심화 DME3013 300 3
재료역학전산설계 전공심화 DME3062 300 3
열유체공학실험1 전공심화 DME3063 300 2
동역학제어실험1 전공심화 DME3064 300 2
재료및생산가공실험1 전공심화 DME3065 300 2
스마트기계공작법 전공핵심 DME3068 300 3
기계공학의응용과미래1 전공심화 DME4062 300 1
커리어개발Ⅱ:취.창업진로포트폴리오 교양필수 GEN5100 100 1
기계공학HY-UP(실용연구실습)2 전공심화 HYP2007 400 1
유체역학2 전공핵심 MEE3004 300 3
열전달 전공핵심 MEE4001 300 3
기계진동학 전공핵심 PME3002 300 3
사랑의실천3(기업가정신) 교양필수 SYH0003 100 2
4학년

1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모빌리티전산설계 전공심화 DME3060 300 3
기계공학의응용과미래2 전공심화 DME4063 400 1
열유체유동해석및설계 전공심화 DME4064 400 3
열유체공학실험2 전공심화 DME4066 300 2
동역학제어실험2 전공심화 DME4067 300 2
재료및생산가공실험2 전공심화 DME4068 300 2
복합재료기초역학 전공심화 DME4070 400 3
미래모빌리티및스마트제조PBL1 전공심화 DME4073 400 3
최적설계및머신러닝 전공심화 DME4076 400 3
자동제어 전공심화 ENE4054 400 3
기계공학HY-UP(실용연구실습)3 전공심화 HYP3008 400 1
로보트공학 전공심화 MEE3008 400 3
기계공학종합설계1 전공핵심 MEE4085 400 3
사랑의실천4(미래실용인재) 교양필수 SYH0004 100 2

2학기

교과목명 이수구분 학수번호 이수단위 학점
기구학 전공심화 APA4010 400 3
미래모빌리티및스마트제조PBL2 전공심화 DME4074 400 3
캐드와디지털팩토리개론 전공심화 DME4075 400 3
기계공학HY-UP(실용연구실습)4 전공심화 HYP4007 400 1
기계공학종합설계2 전공핵심 MEE4086 400 3
반도체및MEMS공정개론 전공심화 MEE4088 400 3
기계공학부캡스톤PBL 전공심화 PBL4006 400 3
학교 졸업요건
구분 내용
평균평점
1.75 학점 이상 (F학점 포함)
졸업기준
1. 영어 전용 강좌 : 5강좌 이상 2. IC-PBL 강좌 이수 * 신입생 : 4강좌 이상 * 편입생 : 2강좌 이상 3. 졸업논문 통과
전공계
[졸업학점 130학점 이상] 전공기초 30학점 이상 전공핵심/심화 42학점 이상 전공400단위 12학점 이상 교양필수 25학점(공통) 3학점(계열) 핵심교양영역 10학점 *필수과목 이수

핵심 응용 분야 트랙 교과목

  • 인공지능

  • 에너지 및 환경

  • 휴먼 헬스케어

  • 첨단 반도체

  • 미래 모빌리티

  • 스마트제조의이해

    4차산업혁명과 스마트제조에 대한 개론 교과목 스마트제조를 위한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가상환경, 공작기계를 이용한 가공에 대한 기본 개념을 배우고 전문 지식 융합의 중요성에 대해 학습함 팀 단위의 실습과 온라인교육을 연계하여 스마트제조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

  • 캐드와디지털팩토리개론

    본 과목의 이론과 실습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2학년을 대상으로 개설되는 컴퓨터지원제도의 수강이 필수적이다. 실습에서는 2학년 CATIA 실습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그러나 현장에서 많이 필요로하는 기능들에 대해 주로 다루게 된다. 그리고 이론 시간에서는 이론강의는 물론 산업체에 계신분들을 초청하여 CAD의 범주를 벗어나 Engineering IT가 실제 설계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2-3주 정도 들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 최적설계및머신러닝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기계설계의 과정을 최적화기법을 이용하여 자동화하여 한정된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한 설계방법을 학습한다. 이를 위하여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수식화하는 과정을 연구하고, 수식화된 문제를 푸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최적설계의 기초적 이론과 개념을 공부하고, 최적화 알고리즘의 소개 및 사례 연구 등을 통하여 실제 문제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인공지능이론및프로그래밍

    본 과목은 기계공학전공자가 상용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품설계를 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 할 때 중요한 계산의 근본 원리를 습득함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과목에서 가르치는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구성된다. 먼저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의 기초를 이해한 뒤, 컴퓨터에 데이터를 적절하게 저장하기 위해서 데이터구조론의 기초를 배운다. 그 후,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알고리듬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기법을 배운다. 이 때 P 및 NP 등 계산이론의 근본에 대한 체계적인 내용의 습득을 통해서 적절한 발견적해법 (heuristic) 알고리듬을 개발하는 기법을 배우게 된다. 본 과목에서는 이론의 교육과 더불어 중요한 내용을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하는 실습과정을 통해서 계산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한다.

  • 선형대수원리및응용

    현대의 많은 공학 분야들은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다수의 문제 해법들은 선형대수에 기반을 하고 있다. 선형대수학은 선형 연립방정식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함께 체계적인 해법을 제공해주며 이는 컴퓨터를 이용한 계산과 직결 될 수 있다. 따라서 대규모의 미지수를 다루는 공학문제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효율적이고 빠르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형대수학에 대한 이론적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강의에서는 선형방정식과 그의 해법, 행렬과 벡터(vector)의 성질, 일차독립(또는 선형 독립, linear independence)과 기저(basis), 고유값(eigenvalue)과 고유벡터(eigenvec-tor)에 대한 개념들을 공부하고 선형연산자의 기하학적 의미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그리고 이들을 공학적 문제해결에 도입하기 위한 기본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 열전달

    전도열전달 방정식의 유도, 정상 및 비정상상태 전도열전달의 해석적 및 수치적 해법, 전도열전달과 전류의 유사성, 대류열전달의 원리, 자연 및 강제대류열전달의 실험적 관계식, 복사열전달의 원리, 형태계수의 계산법, 흑체 및 비흑체간의 복사열전달 계산, 기체복사 및 태양 복사, 비등 및 응축현상의 원리와 실험적 관계식, 열교환기의 종류, 대수평균온도차법과 효율-NTU 방법을 이용한 열교환기 설계, 증발냉각, 저밀도 열전달, 열파이프에 대하여 강술한다.

  • 수소모빌리티산업의응용과미래

    친환경사회에서 전기화 에너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미래모빌리티에 대한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본 교과목은 미래모빌리티 중 수소모빌리티 산업의 응용과 미래를 관련 분야 전문가의 강연을 통해 탐구하고자 한다.
    본 교과목에서 배우는 수소모빌리티는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전기자동차 (Electric Vehicle, EV), 도심항공모빌리티 (Urban Air Mobility, UAM), 무인항공기 (Unmanned Aerial Vehicle, UAV), 수소생산 등을 포함하며 궁극적인 수소사회의 모습과 우리가 지향해 나갈 방향을 제시한다.

  • 열유체유동해석및설계

    본 교과목은 기계공학 학부과정에서 배우는 유체역학1,2 및 열전달의 이론을 실험/실습을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전달 및 유체 유동에 대해 연속방정식, Navier-Stokes 방정식, 에너지 방정식을 수치해석적으로 연립하여 풀이하는 전산유체역학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열전달 및 유체 유동을 해석하고 주요 시스템을 설계하는 방법을 배우는 수업이다. 주어진 열 및 유체 유동의 종류에 따른 지배방정식의 구성과 경계조건에 대해 공부하고,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에 대해 물리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을 공부한다. 따라서 본 강의는 유체역학1,2 및 열전달 강의를 모두 수강한 학생들에게 적합하다.

  • 열역학

    열과 일의 개념,이상기체의 성질, 이상기체의 상태 변화, 순수물질의 열역학적 성질과 증기선도, 순수물질의 상태 변화, 유동계 및 비유동계에 관한 이상기체 및 실제 가스에 대한 열역학의 이론과 열역학 제1법칙과 열역학 제2법칙의 이론과 응용에 관한 기초사항을 다룬다. 제1, 제2법칙의 이론을 기초로 엔트로피의 성질, 엔트로피의 변화, 엔트로피 증가원리, 열역학적 상태량 선도, 정상류 장치의 단열 효율 등에 관한 이론과 개방계에 관한 제2법칙, 카르노 사이클, 계의 열역학 제2법칙 해석 이론을 강술한다.

  • 유체역학

    본 강의는 자연의 기본 법칙을 유체에 적용하여 유체 거동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학습함으로써, 유체 거동에 대한 깊은 이해와 창의적이며 종합적인 판단 능력을 갖춘 공학인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의에서는 Strain Rate Tensor와 Stress Tensor, Stress와 Strain Rate 사이의 관계를 학습하며, 유체 정역학과 유체 운동학의 기초를 다룬다. 속도와 가속도의 Euler 및 Lagrange 표현, 속도 퍼텐셜 및 유도 함수의 개념을 포함하여, Reynolds Transport Equation을 활용한 검사역 해석을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연속 방정식, 운동량 방정식(Navier-Stokes 방정식), 에너지 방정식 등 유체역학의 핵심 이론을 심층적으로 다룬다. 또한, 차원 해석과 상사율에 대해 학습하여 실제 공학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응용 능력을 배양한다. 본 강의는 이론과 실습을 통해 학습자들이 유체역학의 기초부터 고급 개념까지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실질적인 공학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도록 돕는다.

  • 기계융합

    본 강의는 다양한 전공의 학습자가 한 팀을 이루어 IC-PBL(Industry-Coupled Problem-Based Learning) 방식을 활용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와 관련된 실제 문제를 해결하며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산업체에서 해결되지 않은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문제를 분석하고, 스스로 아이디어를 도출하며, 공학적 사고와 융합적 접근 방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경험한다. 이를 통해 공학적 이해를 심화하고, 자신의 세부 진로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수업은 디지털 헬스케어에서 요구되는 융합지식과 문제해결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Creative Ideation,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통계학 응용, 실험계획법 등 문제해결을 위한 기초 지식을 학습하며, 필요에 따라 학생들이 제안하는 교육 요구에 맞춘 추가 강의도 제공된다. 특히, 본 교과목은 스마트 의료기기 설계,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및 관리, 디지털 치료제 개발 등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실질적인 사례를 다루어 학습자가 최신 산업 트렌드에 부합하는 문제해결 능력을 갖추도록 돕는다. 또한, 학습자 개개인의 진로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며, 학습자의 미래 경로를 명확히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강의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 공학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 전자공학

    전자회로 기본소자에 대한 기초 이론과 전자회로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 트랜지스터(BJT, FET등)의 특성과 원리, 전력전자소자 응용, 그리고 Op-Amp의 기본회로와 특성을 배움으로써 전자회로에 대한 이해 및 응용능력을 키운다. 전자회로의 직류와 교류전압·전류원에 대한 회로의 특성을 배움으로써 전기전자장치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필요한 기초지식을 쌓는다.

  • 전기공학

    전기회로의 기본 소자에 대한 전기적 특성과 전기회로 해석법을 명확하게 이해함으로써 각종 전기회로를 해석하고 설계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키운다. 이를 위하여 전기공학의 기초, 직류 및 교류회로 해석기법, 전기회로의 과도 응답 및 주파수 특성, 자기회로 특성 및 에너지 변환 원리 그리고 발전기와 전동기의 특성 및 구동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계측공학

    계측이란 어떤 양을 표준화된 척도로서 정량화,수치화 하는 것이며, 모든 공학분야에서 설계 및 개발, 그리고 생산 및 유통 등 전과정에서 공통적으로 필요로 되는 절차로서, 이 과목은 필수적인 기초소양 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교과목에서는 기계공학적 측면에서 정량화가 필요한 대표적인 물리량인 길이,형상,변위,응력,진동,음향,유량,온도,속도,표면거칠기 등의 계측에 대하여 다룬다. 한편 계측은 계측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이때 계측시스템의 구성요서인 센서,신호변환요소,신호처리요소 등의 동작원리와 특성에 대해 강술함으로써 요구되는 목적에 적합한 계측시스템의 구성 또는 설계능력까지 배양하고자 한다.나아가 최근 레이저,초음파 등을 이용한 정밀계측,간접계측,비접촉계측기법이 전자산업의 발달과 함께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데 발 맞추어 이들 기법의 원리와 특징에 대해 소개한다. 이러한 내용에 대해서는 실험과 Demo를 병행하여 이해를 돕는다.

  • 전자공학

    전자회로 기본소자에 대한 기초 이론과 전자회로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 트랜지스터(BJT, FET등)의 특성과 원리, 전력전자소자 응용, 그리고 Op-Amp의 기본회로와 특성을 배움으로써 전자회로에 대한 이해 및 응용능력을 키운다. 전자회로의 직류와 교류전압·전류원에 대한 회로의 특성을 배움으로써 전기전자장치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필요한 기초지식을 쌓는다.

  • 복합재료기초역학

    복합재료는 비강성 비강도가 우수하여 항공우주, 자동차, 사회기반시설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자동차의 연비 규제와 환경 규제가 심해지면서 경량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복합재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강의에서는 이방성 재료인 복합재료에 대한 역학에 대하여 강의한다. 수강생들은 고정복합재료 적층판 이론, 복합재료 파괴모델, 단섬유 복합재료의 미시역학등에 대하여 학습하게 된다.

  • 스마트기계공작법

    스마트기계공작법 과목은 재료의 기계적 성질 및 구조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형상을 제작하는 기술과 학문을 다루는 과목이다. 크게 주조공정, 용접공정, 절삭공정, 성형공정, 미소전자기계기구와 나노가공으로 분류된다. 특히 반도체, 자동차, 조선산업의 실제 적용사례를 영상을 통해 소개하여 실무적 관점으로 기계제작공정을 이해한다.

  • 반도체및MEMS공정개론

    이 강의에서는 마이크로패브리케이션의 가공 기술과 설계 방법론을 다룬다. 강의 내에서 리소그래피, 열산화, 확산, 이온 주입, 에칭, 박막 증착, 에피택시, 금속화, MEMS 공정 통합 등의 다양한 공정 모듈에 대해서 논의를 진행한다.

  • 재료역학

    기계구조물의 부재설계를 하기위한 기초과목으로 정적인 평형방정식을 기준하여 부재의 내력을 구하고 응력 및 변형률을 정의하며 이들의 구성관계식, 축방향 하중, 비틀림 모멘트, 굽힘 모멘트, 전단력 등에 의한 응력계산법을 공부한다. 응력의 변환법과 주응력 및 재료의 항복조건을 다루어 부재의 안전설계 방법의 기초지식을 부여한다.

  • 로보트공학

    본 강의는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Kinematics, Dynamics, Control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통해 산업용 로봇 및 협업 로봇의 원리를 학습하고, 실제 응용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모델을 유도하고, 이를 분석하여 다양한 제어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성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강의는 좌표계 설정과 Homogeneous Transform, Forward Kinematics, Inverse Kinematics 등 기구학(Kinematics)과 Lagrangian Dynamics 기반의 Forward Dynamics, Inverse Dynamics 등 동역학(Dynamics)을 포함한다. 더불어, 위치 제어, PD, PID, Compliance, Impedance 제어와 같은 다양한 제어 기법을 학습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성능 분석 및 경로 계획(Path Planning), 장애물 회피 등의 응용 사례를 다룬다. 또한 협업 로봇 실습을 통해 스마트 제조 환경에서 로봇의 역할을 학습하고, 산업용 로봇의 전반적인 기본 원리를 이해하며 응용 능력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실무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을 익히게 된다. 본 강의를 수강하기 위해서는 선수과목으로 동역학(Dynamics)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강의는 로봇 공학의 기초부터 실질적인 응용까지 폭넓게 다루며, 학생들이 로봇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 제조 환경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돕는다.

  • 모빌리티전산설계

    동역학 분야의 과목에서 다루었던 기본 설계 방법을 바탕으로,이를 응용하여 전산설계 방법을 활용한 동역학 시스템 해석 방법을 익힌다. 동역학 시스템 전산 설계에 필요한 가장 단순화된 전산 설계 이론에 관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이를 활용하여 구성된 간단한 프로그램 기반 설계 방법을 바탕으로 다물체 해석, 모달 분석, 이산 및 연속계 진동 해석에 관하여 직접 프로그램등을 통해 해석을 수행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용프로그램으로 기본 프로그램에서 다루었던 단순 모델을 확장한 시스템을 해석함으로써 다양한 시스템의 동역학 분석에 필요한 체계화된 접근 방법을 다룬다.

  • 기계진동학

    기계진동학은 학부과정의 진동학 입문 과정으로 이 과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역학, 공업수학(미분방정식)을 선수과목으로 한다. 이 과목에서는 선형진동시스템에 관련된 개념 및 현상을 이해하고 선형진동시스템의 운동을 결정하는 운동방정식을 유도하여 이를 수식적 혹은 수치적으로 해석하여 진동현상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양성함을 수업의 목표로 한다. 과목의 내용은 질량, 스프링, 댐퍼로 이루어진 1자유도계를 해석하여 고유진동, 강제진동, 과도응답, 정상응답 등을 공부하고 이를 다자유도계, 연속계로 확장한다.

  • 시스템해석

    각종 기계류를 구성하는 기계,전기,유체 및 열적 요소의 동적모형화를 다루고, 이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동적기계 시스템의 해석을 취급한다.Bond Graph와 Lapiace 및 Fourier변환 등을 이용한 수학적 모형화 기법과 해석기법 등을 강의하며,비선형 시스템의 선형화도 취급한다. 과도 응답 및 주파수 응답을 해석하고,동적시스템의 설계법과 제어시스템의 응용을 다룬다.

  • 동역학

    동역학은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을 이해하고 운동법칙을 논리적으로 적용하여 그 해석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수업의 목표로 한다. 과목의 내용은 움직이는 물체의 궤적, 즉 변위, 속도와 가속도를 공부한 후 Newton의 운동법칙, 일, 에너지와 운동량법칙 등을 적용한다. 물체를 Particle과 Rigid Body로 나누어 이들을 움직이게 하는 힘에 의해 나타나는 운동과 주어진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필요한 힘등의 동력학적 성질을 규명, 혹은 관찰할 수 있는 운동변수를 구하고 이 운동을 공락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